클러스터링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대의 서버가 관리하도록 운영하는 방법.
한 서버에 장애가 발생할 시 다른 서버를 이용해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하다(fail-over 방식).
active-active 방식
- 두 서버 모두 active 상태이므로, 한 서버 장애 시 빠른 장애 회복 가능
- 부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
- 한 database를 공유하므로 더 많은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
active-standby 방식
- 병목 현상이 비교적 덜 함
- 부하 절감 효과가 비교적 적음
- active 서버에 장애 발생 시 stanby 서버가 active가 되는 시간 동안은 서비스 사용 불가
Replication
복제본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는 방법이다. 원본 db를 master db, 복제본 db를 slave db라고 부른다.
insert, update, delete 작업은 master db에 select 작업은 slave db에 위임함으로써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replication 과정은 비동기적으로 진행됨으로 두 db간의 데이터 동기화가 보장되지 않아 일관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Reference
https://code-lab1.tistory.com/205
[DB] 리플리케이션(Replication)이란? 클러스터링(Clustering)이란?
클러스터링(Clustering)이란? 클러스터링은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대의 서버가 관리하도록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클러스터링은 Active-Active 방식과 Active-StandBy 방식이 있
code-lab1.tistory.com
https://it-sunny-333.tistory.com/148
MySQL Replication 이해하기 (Master - Slave)
MySQL을 사용할 때 이중화 구성(Master - Slave)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데이터가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러한 이중화 구성을 이해하기 위해 Replication 과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1
it-sunny-333.tistory.com
'Computer Science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Injection (0) | 2024.04.23 |
---|---|
CAP 이론 (0) | 2024.04.23 |
파티셔닝과 샤딩 (0) | 2024.04.23 |
DB Index (0) | 2024.04.23 |
Join & Driving Table (0) | 2024.04.23 |